길 밖의 세상을 꿈꾸는 모두에게, 《기찻길 밖을 달리면》
뜻밖의 사건으로 자신의 기차가 선로를 벗어나서도 달릴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타미는 자기 앞에 놓인 길을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보게 됐어요. ‘정해진 길 밖을 달릴 수는 없을까?’ ‘저 길 밖에서는 또 어떤 세상과 삶이 기다리고 있을까?’ 꾹꾹 눌러두었던 호기심과 상상력은 결국 타미를 새로운 길, 아무도 가지 않은 길로 이끌어요.
뜻밖의 사건으로 자신의 기차가 선로를 벗어나서도 달릴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타미는 자기 앞에 놓인 길을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보게 됐어요. ‘정해진 길 밖을 달릴 수는 없을까?’ ‘저 길 밖에서는 또 어떤 세상과 삶이 기다리고 있을까?’ 꾹꾹 눌러두었던 호기심과 상상력은 결국 타미를 새로운 길, 아무도 가지 않은 길로 이끌어요.
겁이 나도 용감하고, 잘 하면서도 부끄럽고, 꼭 해야 하는데 하기 싫을 때가 있죠. 하지만 걱정 마세요! 《누구나 그럴 때가 있어》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갖고 있는 이런 복잡한 마음을 함께 들여다보며, 그 모든 감정이 더없이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다독이는 책입니다.
다양하고 포용적인 시각으로 정확하고 상세하게 몸을 설명하는 논픽션 그림책 《몸몸몸》은 에둘러 말하거나 ‘같음’을 강요하지 않으면서, 아이들이 궁금해할 만한 우리 몸의 다양한 모습과 명칭을 알려줍니다.
케탄지 브라운 잭슨 판사가 미 최초의 흑인 여성 연방 대법관으로 인준됨으로써 성평등을 향한 여정이 다시 한 걸음을 더 내딛었습니다. 잭슨 대법관은 선배 대법관이자 미 최초의 히스패닉계 연방 대법관인 소니아 소토마요르와 함께 여성과 어린이들의 새로운 롤모델이 될 것입니다.
7월 2일자 《시사In》 기사에 따르면, 미국의 과학자 키즈메키아 코벳Kizzmekia Corbett은 서른다섯 살의 젊은 여성 과학자이지만 벌써 ‘과학사에 기록될’ 인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면역학 전문가로 수 년간 사스와 메르스 같은 코로나바이러스를 연구해 온 그녀는 중국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가 발견되자마자 동료들과 함께 백신 연구에 뛰어들었고, 연구 시작 66일 만인 2020년 3월 16일에 mRNA백신 후보 물질의임상 더보기
이름을 들으면 머릿속에 분명한 이미지가 떠오르는 대상이 있죠. ‘늑대’도 그런 대상 중 하나일 거예요. 사람들이 떠올리는 늑대의 모습은 나쁘거나, 혹은 아~주 나쁜 늑대일 뿐이에요. 《저는 늑대입니다만》의 주인공도 늑대이지만, 사람들이 생각하는 모습과는 조금 달라요.
지난 1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취임식에서 22살의 시인 아만다 고먼이 읊은 시 ‘우리가 오르는 언덕’(The Hill We Climb)의 아름다운 내용과 그림책 출간 소식을 전합니다.
처음부터 줄무늬가 없이 태어난 호랑이는 생각했습니다.
‘열심히 노력하면 얻을 수 있을지도 몰라.’
결국 줄무늬를 찾아 길을 떠난 호랑이는 원하는 것을 얻게 될까요? 아니면 호랑이의 인생을 바꿔놓을 놀라운 답을 찾게 될까요?
‘남들과 다르게 생활하는 것’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소니아 소토마요르 미 연방 대법관이 12가지 장애에 대한 친절한 설명을 들려주고, 아이들에게 전하는 “그러한 차이가 세상을 더 멋지게 만든다”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보이지 않는 사람들과 장애 감수성 유엔 발표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의 15%, 약 15억 명에 달하는 사람이 장애를 안고 살고 있습니다1. 물론 여기에는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 경미한 장애도 포함돼 있지만, 장애인이 생각보다 우리 주변에 생각보다 훨씬 많다는 사실만은 분명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많은 장애인을 비장애인이 일상에서 마주할 기회는 그리 많지 더보기